일터, 정규직의 미래는 없다


국내의 비정규직  또는 단기계약직을 바라보는 시각과는 달리 가까운 미래는 이들이야 말로 미래지향적인 직군으로 바라보고 있다. 우버의 예를들어 본다면, 정규직이야 고작 2천여명인데 반하여, 16만명이라는 어마어마한 수의 계약직을 활용하고 있다. 1 대 80의 비율이라는 수치가 나온다.’계약직 (즉, 프리랜서)’의 관점으로 본다면, 우버만이 아니다. 가장 최근의 ‘1099 Economy’를 표방하는 스타트업으로 Handy, Eaze and Luxe를 들 수 있다.

“1099 Economy” 용어: 1099는 세무양식 중에 소득이 급여가 아닌 사업소득으로 분류되면서, Independent Contractor (계약직으로 번역 될 수 있지만, 실질적인 의미로는 국내의 프리랜서와 가장유사 함)를 간접적으로 비유 할 때 사용되는 용어로 보면되고, 국내환경과 견주어 “프리랜서 경제”로 해석하는 것이 가장 적합할 것으로 보인다.

이들 on-demand 스트타업이 많은 관심을 받고 있지만 계약직의 활용은 다른 기업에서도 찾아 볼 수 있다. 마이크로소프트의 경우는 2/3의 직원이 계약직 형태로 근무하고있다. (이는 국내 계약직활용을 선도하는 것이 대기업인 것와 유사함) 2003년과 비교한다면 개인사업자들의 계약직 활용도 거의 2배 가까이 늘어 났다. 인근 지역내 계약식 서비스제공자들은 빠르게 이러한 플랫폼으로 흡수되는 현상을 볼 수 있었다. 한 홈클리너는 요즘처럼 바쁜 시기는 없었다며, 자신의 상태를 ‘Available’로 바꾸기만 하면 일이 들어오고 고객에게 찾아가기만 하면된다고 즐거워했다.

지식근로자의 경우, Upwork이 이러한 갭을 채우고 있다. 전 세계의 지식근로자는 역시 지구촌 전체의 가망고객 풀에 접속할수 있다. 지불과 리포팅은 플랫폼에의해 관리되고 계약직원 (또는 프리랜서)은 재택이던 태국에서 휴가를 즐기고 있던 본인이 전문가인 영역에서 일할 수있도록 플랫폼이 저변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것이다.

국내와는 다르게, 미국의 경우 ACA (Affordable Care Act)에 의해 각 주마다 제공되는 마켓플레이스에서 의료보험을 선택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이외에도 증가하는 프리랜서의 니즈를 충족시키기위한 조직들이 계속 생겨나고 있다.

이러한 기술 플랫폼은 프리랜서가 전세계 어디에 있더라도 수월하게 고객을 찾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돕고있다. 그리고 커뮤니티와 툴은 그들의 재정관리가 최적화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고 있다. 그래서 5년후에는 전체 경제활동 인구의 40%가 프리랜서 형태로 존재 할 것이라는 예측이 나오는 이유일 것이다.

이상 발췌/번역 출처: TechCrunch, In the Future, Employees Won’t Exist

그리고, 중앙일보는 IoE (Internet of Everything)의 확산을 통한 사회변화와 연관지어 설명하는 10년의 변혁관점에서 볼 때 크게 벗어난 것은 아니다. (중앙일보10년 뒤에는 미국 근로자 34%가 프리랜서)

htm_2015061123194950105011

Forbes는 올해 2월경에 ‘1099경제’의 증가요인으로 “Well-paying” 정규직의 축소와 플랫폼 (인터넷, 웹 2.0등)의 발전이 니치 마켓을 개인 또는 소그룹의 형태로 개발하기 수월해졌기 때문으로 보고있다. Freelancer’s Union은 53백만이라는 인구가 현재 프리랜싱을 주업으로 하고있고 경제활동인구의 34%를 차지 하고 있다고 전하고 있다.

(상기내용을 포함한 자세한 내용은 “2015년 1099 워크포스 리포트“에서 찾아 볼 수 있다.)

이러한 1099 경제에서 성공은 사업가마인드를 갖추어야 함을 강조하며 Anthony Humpage는 10가지 성공지침을 제시했다.

1. The ability to raise money is your most valuable skill.
(가장 중요한 기술은 자본을 만들어 내는 것)

2. Seek out a mentor.
(정규교육 및 네트워킹을 통해 부족한 부분을 채워줄 멘토를 찾아라)

3. Don’t try to do everything yourself.
(혼자 다하는 것이 장땡이 아니다)

4. Establish your team of specialists early on.
(일찍부터 전문가로된 팀을 만들어라)

5. Action leads to success.
(의지만으로 부족하고 행동으로 옮길 줄 알아야한다)

6. Quickly identify your mistakes.
(실수를 빨리 찾아 낼 수 있어야 한다)

7. Surround yourself with a good support network.
(주변에 지원을 해줄 수 있는 네트워크를 갖추어야 한다)

8. Don’t lose your positive attitude.
(긍정적인 자세를 잃지마라)

9. Never stop learning.
(영속적인 배움)

10. Keep on reading.
(영속적인 독서)

이상 Forbes의 10 Tips For Success In The 1099 Economy에서 발췌번역 함

DS 블로그 내 프래랜서 관련글:

2015년 프리랜서 트랜드: 프리랜서 경제와 기술 트랜드와 프리랜서의 생활 형태 정리